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2세 관람가 영화, 미성년자는 어떤 기준으로 관람할 수 있을까?

by 쏘쏘한이모 2025. 5. 8.
반응형

 

최근 가족 단위 영화 관람이 늘어나면서, ‘12관람가’ 등급에 대한 궁금증을 가진 부모님들이 많아졌습니다. 초등학생 자녀와 함께 극장을 찾을 때, 영화가 12관람가일 경우 보호자가 필요할지, 아이들끼리만 봐도 괜찮을지 헷갈리실 있는데요.
오늘은 2025기준으로 12관람가 영화의 미성년자 관람 기준출생년도, 보호자 동반 여부, 영화관 실제 운영 방식까지 총정리해보겠습니다.

 

 

 


🎯 12관람가란 정확히 어떤 의미인가요?

먼저 '12관람가'그대로 12이상부터 단독으로 관람이 가능한 등급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12세'단순히 초등학교 6학년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생년월일 기준으로 계산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 20133월생 아이는 20253월부터 12
  • 20138월생은 20258월부터 12세가 됩니다

즉, 출생 연도만 같다고 해도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아직 12세가 아니므로 단독 관람은 어렵습니다.


👨‍👧 보호자와 함께라면 관람 가능할까요?

네, 12미만이라도 성인 보호자가 함께하면 12관람가 영화 관람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보호자는 반드시 법적 보호자 또는 성인 보호인이어야 하며, 19이상이면 인정됩니다.

가끔 학부모님들 사이에 ‘고등학생 형이 데려가도 되나요?’ 같은 질문이 있는데요,
고등학생은 성인이 아니기 때문에 보호자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성인 보호자(예: 부모, 삼촌, 고모 등)동반이 필요합니다.


🧾 미성년자 단독 관람 시, 나이는 어떻게 증명할까요?

아이들끼리 영화관에 경우, 영화관 측에서 나이 확인을 요구할 있습니다.
요즘은 아래와 같은 자료를 제시하면 대부분 입장할 있습니다.

  • 학생증 (생년월일 명시된 것)
  • 청소년증
  • 모바일 주민등록증 (행정안전부 '모바일증' 앱)
  • 주민등록등본 캡처본 (가족관계증명서도 가능)

영화관마다 기준이 조금씩 다르지만, CGV, 메가박스, 롯데시네마 같은 대형 체인에서는 나이 논란이 있을 경우 관람 불가 처리있으니, 12여부가 애매한 경우 보호자와 동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2025기준, 생년월일별 관람 가능 시점은?

지금이 20255월이라고 가정하면,

  • 20135이전 출생자는 단독 관람 가능
  • 20135이후 출생자는 생일 이후부터 단독 관람 가능입니다.

즉, 같은 2013년생이라도 생일이 언제냐에 따라 단독 관람 가능 시점이 달라집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 12관람가 영화, 초등학생은 혼자 없나요?
생일이 지나 12세가 되었다면 가능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보호자 동반이 필요합니다.

Q. 형이나 누나랑 가면 보호자 역할이 되나요?
고등학생은 보호자가 없습니다. 반드시 성인이어야 합니다.

Q. 영화관에서 나이 확인 하면 그냥 입장 가능한가요?
원칙적으로는 나이 확인 가능성이 있으며, 입장 자체를 거부당할 있습니다.


🔍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 12관람가는 '12이상'부터 단독 관람 가능
☑️ 생일이 지나야 12인정
☑️ 보호자 동반 시, 12미만도 관람 가능
☑️ 성인이 아닌 형제·자매는 보호자로 인정되지 않음
☑️ 학생증이나 청소년증 지참 입장 가능

 

반응형